IT

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변수형 정리

carnival6103 2025. 2. 2. 14:10
반응형

파이썬은 동적 타이핑 언어입니다. 즉, 변수를 선언할 때 자료형을 명시할 필요 없이, 값이 할당될 때 자동으로 자료형이 결정됩니다. 파이썬의 주요 변수형과 활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1. 숫자형 (Numeric Types)

  • 정수형 (int) : 정수를 저장하는 자료형입니다.
age = 30
count = 100
  • 실수형 (float) : 소수를 저장하는 자료형입니다.
pi = 3.141592
temperature = 25.5
  • 복소수형 (complex) : 복소수를 저장하는 자료형입니다.
z = 3 + 4j  # j는 허수 단위

2. 문자열 (String Type)

문자열은 문자들의 나열을 저장하는 자료형입니다. 작은따옴표('') 또는 큰따옴표("")로 묶어서 표현합니다.

name = "Alice"
message = 'Hello, world!'

3. 불리언형 (Boolean Type)

참(True) 또는 거짓(False) 값을 저장하는 자료형입니다.

is_adult = True
is_student = False

4. 시퀀스형 (Sequence Types)

  • 리스트 (list) : 여러 개의 값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가변(mutable) 자료형입니다.
numbers = [1, 2, 3, 4, 5]
names = ["Alice", "Bob", "Charlie"]
  • 튜플 (tuple) : 리스트와 유사하지만, 값을 변경할 수 없는 불변(immutable) 자료형입니다.
coordinates = (10, 20)
rgb = (255, 0, 0)  # 빨간색
  • 레인지 (range) : 숫자 시퀀스를 생성하는 자료형입니다. 주로 반복문에서 사용됩니다.
for i in range(5):  # 0부터 4까지 반복
    print(i)

5. 맵핑형 (Mapping Type)

  • 딕셔너리 (dictionary) : 키(key)와 값(value)의 쌍을 저장하는 자료형입니다.
person = {"name": "Alice", "age": 30}

6. 집합형 (Set Types)

집합 (set)

중복된 값을 허용하지 않는, 순서 없는 값들의 모음입니다.

s = {1, 2, 3, 3}  # {1, 2, 3}과 동일

7. NoneType

None 값은 아무것도 없음을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.

result = None

변수형 확인 및 변환

  • type() 함수: 변수의 자료형을 확인합니다.
x = 10
print(type(x))  # <class 'int'> 출력
  • 형변환 (Type Conversion): 변수의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합니다.
x = 10
y = float(x)  # x를 실수형으로 변환
z = str(x)  # x를 문자열로 변환

동적 타이핑의 장점

  • 코드 간결성: 변수 선언 시 자료형을 명시할 필요가 없어 코드가 간결해집니다.
  • 유연성: 변수에 다양한 자료형의 값을 할당할 수 있어 유연한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.

주의 사항

  • 동적 타이핑은 편리하지만, 예기치 않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  • 변수의 자료형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반응형